개발로그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개발로그

  • 분류 전체보기 (545)
    • JAVA (68)
      • 자바소개 (4)
      • 자바 기본 문법 (22)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15)
      • 예외 처리 (9)
      • 스레드 (18)
    • Databases (14)
      • JDBC (13)
      • Hibernate ORM (1)
    • GIT (39)
      • 시작하기 (5)
      • GIT의 기초 (7)
      • Git 브랜치 (6)
      • Git 서버 (7)
      • Git 분산 환경 (6)
      • Git 도구 (8)
    • 알고리즘 (41)
      • 자료구조 (24)
      • 검색 알고리즘 (0)
      • 초급 알고리즘 (17)
      • 중급 알고리즘 (0)
      • 고급 알고리즘 (0)
    • 코딩문제 (35)
    • D3 (47)
      • D3 소개 (2)
      • 시각화 (45)
    • Docker (30)
    • Kubernetes(K8S) (2)
    • 도구 (39)
      • 프리미어프로 (39)
    • 브라우저 (32)
    • JavaScript (79)
    • TypeScript (38)
    • REACT (13)
      • 리액트 학습하기 (13)
      • 리액트 API (0)
      • 리액트 DOM API (0)
    • React Native (19)
    • Dart (26)
    • Flutter (8)
    • Electron (15)
    • 인증 (0)
  • 홈
  • 태그
  • 방명록
[Flutter] 상태 관리: 사용자 이너페이스를 동적으로

[Flutter] 상태 관리: 사용자 이너페이스를 동적으로

상태란 무엇인가?Flutter에서 상태란 앱이 실행되는 동안 변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합니다.카운터 앱의 현재 숫자체크박스의 선택 여부텍스트 입력 필드의 내용네트워크에서 불러온 데이터 목록이 정보들이 변하면,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그에 따라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 상태 관리란, 이 정보의 변화를 감지하고, UI를 자동으로 갱신하는 일련의 프로세스입니다.상태 있는 위젯의 구조Flutter에서 상태를 관리하는 기본 단위는 StatefullWidget입니다. 이 위젯은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StatefulWidget(위젯 자체): 위젯의 구성을 정의합니다.State 객체: 위젯의 상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객체입니다.class MyCounter extends StatefulWidget { const My..

  • format_list_bulleted Flutter
  • · 2025. 9. 8.
  • textsms
[Flutter] 레이아웃의 핵심: 위젯의 대화

[Flutter] 레이아웃의 핵심: 위젯의 대화

제약(Constraints)이란?모든 위젯은 부모 위젯으로부터 제약을 받습니다. 이 제약은 최소/최대 너비와 최소/최대 높이를 정의하는 네 개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면, 화면 전체를 차지해야하는 Scaffold는 자식 위젯에게 "너는 최소 0, 최대 375픽셀의 너비를 가져야 한다"라는 제약을 줍니다. 자식 위젯은 이 제약 내에서 자신이 원하는 크기를 결정한 후, 그 크기를 부모에게 알려줍니다. 부모 위젯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자식 위젯을 어디에 배치할지 결정합니다.기본 레이아웃 위젯: Row와 Column가장 흔히 사용되는 레이아웃 위젯은 Row와 Column입니다. 이들은 Flex 위젯의 특수한 형태로, 자식 위젯들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열합니다.Row(수평 레이아웃)Row( chi..

  • format_list_bulleted Flutter
  • · 2025. 9. 5.
  • textsms
[Flutter] 기본 블록: 위젯 이해하기

[Flutter] 기본 블록: 위젯 이해하기

위젯이란?Flutter에서 위젯은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단순한 버튼이나 텍스트 뿐만 아니라, 레이아웃, 애니메이션, 심지어는 앱 전체까지도 위젯으로 표현됩니다. 위젯은 앱의 현재 상태를 기반으로 UI를 설명하는 순수한 Dart 객체입니다. Flutter 프레임워크는 이 위젯 트리를 기반으로 픽셀을 그리는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합니다.위젯의 종류: Stateless vs StatefullFlutter의 위젯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StatelessWidget(상태 없는 위젯)정의: 생성될 때 설정된 구성에 따라 UI를 그리는 위젯입니다.특징: 한 번 생성되면 그 내용이 변하지 않습니다. 부모 위젯이 다시 빌드될 때만 UI가 업데이트됩니다.사용 예: 고정된 아이콘, 정적 텍스..

  • format_list_bulleted Flutter
  • · 2025. 9. 5.
  • textsms
[Flutter] macOS에서 Flutter 완전히 제거하기: SDK부터 설정 파일까지

[Flutter] macOS에서 Flutter 완전히 제거하기: SDK부터 설정 파일까지

Flutter SDK 디렉터리 삭제하기가장 먼저, Flutter SDK 자체를 저장한 폴더를 찾아 삭제해야 합니다.터미널 열기Flutter 설치 위치 확인하기: 기본적으로 ~/development/flutterSDK 디렉터리 삭제하기rm -rf Flutter디렉터리구성 및 캐시 파일 정리하기Flutter와 Dart는 시스템의 여러 위치에 구성 파일과 패키지 캐시를 저장합니다. 이 단계를 수행하면 Flutter에 대한 모든 흔적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Flutter 구성 디렉터리 제거이 디렉터리는 Flutter 툴의 설정들을 저장합니다.rm -rf ~/.flutter ~/.flutter-devtools ~/.flutter_settingsDart 구성 디렉터리 제거Dart 언어 자체의 구성 파일과 분석..

  • format_list_bulleted Flutter
  • · 2025. 9. 5.
  • textsms
[Flutter] 개발 환경 설정 핵심: PATH에 Flutter SDK 추가하기

[Flutter] 개발 환경 설정 핵심: PATH에 Flutter SDK 추가하기

Flutter 설치 후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단계는 Flutter SDK를 시스템의 PATH 환경 변수에 추가하는 것입니다. 이 설정을 완료해야 터미널에서 Flutter 명령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PATH 추가하는 이유PATH는 운영체제가 명령어를 어디서 찾을지 알려주는 시스템 환경 변수입니다. Flutter SDK의 실행 파일은 flutter/bin 디렉터리에 있습니다. 이 디렉터리를 PATH에 등록하지 않으면, 터미널에서 매번 전체 경로를 입력해야 합니다.PATH 등록flutter --versionPATH 미등록/Users/username/development/flutter/bin/flutter --versionmacOS: zsh 쉘 설정하기최신 맥은 기본 쉘로 zsh를 사용합니다. Flu..

  • format_list_bulleted Flutter
  • · 2025. 9. 5.
  • textsms
[Flutter] SDK 아카이브: 과거 버전 관리 가이드

[Flutter] SDK 아카이브: 과거 버전 관리 가이드

Flutter SDK 아카이브란?Flutter의 모든 이전 버전을 모아놓은 공식 저장소입니다. 여기서는 Windows, macOS, Linux를 위한 SDK 설치 파일을 찾을 수 있으며, stable, beta, main 채널의 다양한 빌드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아카이브가 유용한점호환성 문제 해결: 특정 패키지가 최신 Flutter 버전과 호환되지 않을 때, 그 패키지가 잘 작동하던 과거 버전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버그 분석 및 재현: 최신 버전에서 발생한 문제를 이전 버전과 비교하여, 어느 시점에서 문제가 생겼는지 추적할 수 있습니다.레거시 프로젝트 유지보수: 오랜된 프로젝트를 최신 SDK로 업그레이드하기 전에, 현재 사용 중인 버전을 정확히 확인하고 유지할 수 있습니다.Flutter 릴리스 채널..

  • format_list_bulleted Flutter
  • · 2025. 9. 5.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545)
    • JAVA (68)
      • 자바소개 (4)
      • 자바 기본 문법 (22)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15)
      • 예외 처리 (9)
      • 스레드 (18)
    • Databases (14)
      • JDBC (13)
      • Hibernate ORM (1)
    • GIT (39)
      • 시작하기 (5)
      • GIT의 기초 (7)
      • Git 브랜치 (6)
      • Git 서버 (7)
      • Git 분산 환경 (6)
      • Git 도구 (8)
    • 알고리즘 (41)
      • 자료구조 (24)
      • 검색 알고리즘 (0)
      • 초급 알고리즘 (17)
      • 중급 알고리즘 (0)
      • 고급 알고리즘 (0)
    • 코딩문제 (35)
    • D3 (47)
      • D3 소개 (2)
      • 시각화 (45)
    • Docker (30)
    • Kubernetes(K8S) (2)
    • 도구 (39)
      • 프리미어프로 (39)
    • 브라우저 (32)
    • JavaScript (79)
    • TypeScript (38)
    • REACT (13)
      • 리액트 학습하기 (13)
      • 리액트 API (0)
      • 리액트 DOM API (0)
    • React Native (19)
    • Dart (26)
    • Flutter (8)
    • Electron (15)
    • 인증 (0)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git
  • #java
  • #TypeScript
  • #프리미어프로
  • #Javascript
  • #코딩문제
  • #docker
  • #브라우저
  • #D3
  • #알고리즘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