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aleOrdinal(domain, range)특정 도메인 값을 대응하는 범위 값으로 매핑하는 순서 스케일을 구성합니다.const color = d3.scaleOrdinal(["a", "b", "c"], ["red", "green", "blue"]);위 코드에서 a는 red와 매핑되고 c는 blue와 매핑됩니다. 범위가 빈 배열일 때 Ordinal 스케일은 항상 undefined를 반환합니다. 범위의 요소를 한개로 했을 경우 도메인을 어떤걸 선택하여도 한개인 요소만 출력됩니다.ordinal(value)입력 도메인에 값이 주어지면 출력 범위에 해당 값을 반환합니다. 도메인에 입력 값이 없으면 unknown 값을 출력합니다. 만약 unknown 값이 없으면 입력 값은 도메인에 자동 추가가 되고 범위의 다음..
로그 스케일은 선형 스케일과 유사하지만, 출력 범위 값이 계산되기 전에 입력 도메인 값에 로그 변환을 적용합니다. 범위 값 y와 도메인 값 x의 매핑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습니다 y = m log(x) + b로그 스케일의 도메인은 양수이거나 음수여야 합니다. 0을 포함하면 안됩니다. 양수일 경우 양수 값에 대해서 잘 동작하며 음수일 경우 음수 값에 대해서 잘 동작합니다.scaleLog(domain, range)지정된 도메인 및 범위를 설정한 로그 스케일을 반환합니다. 도메인 기본값은 [1,10]이고 범위 기본값은 [0,1]입니다.const x = d3.scaleLog([1, 10], [0, 960]);log.base(base)값이 있을 경우 로그 밑의 기준을 base 값으로 설정합니다.기본값은 10..
파워 스케일은 선형 스케일과 유사하지만 출력 범위 값이 계산되기 전에 입력 도메인 값에 지수 변환을 적용합니다.범위 값 y는 도메인 값 x에 대한 식은 y = mx^k + b로 표현됩니다. k는 지수 값입니다.scalePow(domain, range)지정된 도메인과 범위를 가진 지수 1인 파워 스케일을 생성합니다.const x = d3.scalePow([0, 100], [0, 1000])x(50) // 500scaleSqrt(domain, range)지정된 도메인과 범위를 가진 지수 0.5인 파워 스케일을 생성합니다.const x = d3.scalePow([0, 100], [0, 1000])x(50) // 707.1067811865476pow.exponent(exponent)지수가 지정되면 현재 지수를 ..
시간 영역을 갖는 스케일입니다. 영역의 값은 숫자가 아닌 날짜로 강제 변환되고 invert도 날짜를 반환합니다. time 스케일은 달력 간격을 기반으로 틱을 구현하여 시간 영역에 대한 축 생성의 어려움을 덜어줍니다.scaleTime(domain, range)지정된 도메인과 범위를 가진 새로운 시간 스케일을 생성합니다. 도메인을 지정하지 않으면 [2000-01-01,2000-01-02]입니다. 범위의 기본값은 [0,1]입니다.const x = d3.scaleTime([new Date(2000, 0, 1), new Date(2000, 0, 2)], [0, 960]);x(new Date(2000, 0, 1, 5)); // 200x.invert(200); // date 값scaleUtc(domain, range..
선형 스케일은 연속적인 숫자 데이터를 다른 연속적인 숫자 범위로 선형 변환하여 매핑합니다. 이 변환은 비례 관계를 유지하며, 숫자로 된 범위는 역으로 변환할 수도 있습니다. 선형 스케일은 비례적인 차이를 잘 보존하므로 연속적인 숫자 데이터를 다룰 때 사용하기 편리합니다.scaleLinear(domain, range)선형 스케일을 만들 때, 지정된 도메인 및 범위로 설정합니다. 도메인이나 범위를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은 [0,1]입니다.const linear = d3.scaleLinear([0, 100], [10, 1000])linear(value)도메인의 값이 주어지면 범위에서 해당하는 값을 찾아 반환합니다. const linear = d3.scaleLinear([0,100],[10,1000])linea..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