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e()
기본 설정으로 새 트리 레이아웃을 만듭니다.
const treeLayout = d3.tree()
tree(root)
루트 및 해당 하위 항목에 대해 다음 속성을 할당하여 반환합니다.
- node.x - 노드의 x좌표
- node.y - 노드의 y좌표
x와 y좌표는 임의의 좌표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x를 각도로 y를 반경으로 처리하는 radial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계층 구조를 레이아웃에 전달하기 전에 sort를 호출할 수도 있습니다.
const hierarchy = d3.hierarchy({
name: 'root',
children: [
{name: 'c1',x:3,y:1},
{
name: 'c2',
children: [
{
name:'c3',
children: [
{name:'c5'},
{name:'c6'},
{name:'c7'},
]
},
{name:'c4'},
]
},
]
})
const treeLayout = d3.tree()(hierarchy)
tree.size(size)
크기가 지정되면 레이아웃의 크기를 두 요소의 배열 [너비, 높이]로 설정하고 레이아웃을 반환합니다. 설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은 [1,1]입니다.
tree.nodeSize(size)
트리 레이아웃의 노드 크기를 지정된 숫자 배열 [너비, 높이] 으로 설정합니다.
tree.separation(separation)
분리가 지정된 경우 설정 후 레이아웃을 반환합니다. 인접 노드를 분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분리 함수는 노드 a와 b를 전달하며 원하는 분리를 반환해야 합니다. 인접한 노드를 멀리 보낼수 있습니다.
function separation(a, b) {
return a.height > b.height ? 5 : 2;
}
const treeLayout = d3.tree()
.separation(separation)
.size([250,250])
'D3 > 시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D3] d3-partition(직사각형으로 계층 구조 그리기) 사용법 (0) | 2024.05.16 |
---|---|
[D3] d3-cluster(클러스터) 사용법 (0) | 2024.05.10 |
[D3] Stratify(링크 트리) 사용법 (0) | 2024.05.10 |
[D3] Hierarchies(계층구조) 사용법 (0) | 2024.05.10 |
[D3] d3-geo projections 사용법 (0) | 2024.05.09 |